본문 바로가기
요리 티비

만물상. 수제공진단.

by 로토루아8 2017. 12. 8.
반응형

음식이 보약이다.

겨울이 될수록 더욱 절실하게 와 닿는 말이에요.

저렴하고 흔하게 먹을 수 있는  제철 재료로 만드는 몸에 약이되는 공진단!!

공진이란 뜻이 사방의 사람들이 임금의 덕화에 귀의하여 복종한다.

수승화강이란?

차가운 기운은 위로. 뜨거운 기운은 아래로!!

몸의 기운이 순환되어야 건강할 수 있다는 한의학의 원리.

명약 중의 명약으로 황제의 보약으로 불릴만큼 원기 회복에 탁월해요.

산수유. 당귀 녹용. 사향.

공진단이 비싼 이유는 바로 사향 때문임.

사향은 노루가 죽어야 얻을 수 있어요. 재료 자체가 귀해서 비싸다고하네요.

단돈 400원에 공진단을 만들 수 있음.

산수유. 당귀. 녹용. 사향 대신 효능이 비슷한 식재료 준비.

쥐눈이콩. 검은 참깨. 당귀. 생강은 가루로 쉽게 구할 수 있어요.

공진단의 재료들처럼 몸의 기운을 순환시켜 공진단과 같은 효능을 낼 수  있음.

동의보감에보면 따뜻한 성질의 쥐눈이콩은 산수유와 같다고해요.

쥐눈이콩과 산수유는 신장기능. 생식기능을 강화해주는 역할을 해줌.

검은 참깨는 녹용의 효능과 유사해요


녹용과 검은참깨는 사람의 기본적인 에너지를 보충해주는 것은 물론

뼈와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와 간과 신장 건강에 좋은 효능까지 동일함.

동의보감속 최고의 장수 식품인 검은 참깨. 

기혈순환을 돕는 생강과 사향.

사향대신에 생강을!!!

검은 참깨 5큰술. 쥐눈이콩 가루 5큰술. 당귀가루 1큰술. 생강가루 1큰술을 넣고 

잘 섞어준다.

음식의 색에 따라 영향을 받는 장기들이 다름.

달콤함은 물론 재료들의 영양을 어우러지게 하는것!

11월과 12월 지금이 제철인 유자는 맛도 좋고 영양도 좋음.

한의학 의서 중 유자는 답답한 기운을 아래로 내려 가슴을 시원하게 해줌.

당귀대신 몸의 기운 순환을 돕는 유자.!!

유자는 지금이 제철이라 저렴하다고해요.

유자즙 2큰술. 꿀 2큰술을 넣어 유자꿀을 만든다.

달달한 꿀은 취향에 따라 조절해 넣어주세요

꿀을 중탕해서 수분을 날린 뒤 사용하면 음식을 더 오래 보관할 수 있어요

수제 공진단 가루에 유자꿀을 넣어 반죽한다.

재료가 서로 잘 뭉칠수 있게 여러 번 치대주면 끝!

손가락 한 마디 크기로 떼어내 동그랗게 만들어준다.

모든 가루 재료를 다 합쳐도 종이컵 1컵이 안되는 분량이기에

하루에 5알 정도!!

아침 못드시는 직장인들에게도 추천해요!!!



검은참깨와 쥐눈이콩의 고소함과 생강의 알싸함

유자꿀의 달달하고 상큼함까지!!!



<출처: tv조선 만물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