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비보기

어쩌다 어른 109회-과학탐험가 문경수. 화성탐사 로봇은 어떻게 화성에 갈까?

by 로토루아8 2017. 11. 10.
반응형

중앙으로 갈수록 최고 100도 이상된다고해요.

바글바글하다고함.

특정온도에서 특정한 미생물이 번식해서 미생물의 색깔에 따라

좌우되는 물 색깔.

화산 분출로 인한 뜨거운 물로 300도 이상이라고해요.

미생물뿐 아니라 다세포 생물도 서식하고 있다고해요.

생물 연구의 보고 심해 열수구에 한국인 최초로

불편한 자세로 심지어 암흑을 무려 5시간 하강해서 내려가야함.


험한 바닷속에 전력케이블 연결이 불가능하기때문에

반나절을 버텨야 하는 상황. 최소한의 전력만 사용해야함.

눈과입이 없는 물고기들이 돌아다닌다고해요. 다른형태로 에너지원을 섭취함.

생명체가 열악한 환경에 적응을 함.

연구용으로만 활용한다고해욤.

로봇이 대신 조사해줌. 

사진으로보면 엄청 가깝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넘나 먼 곳임.

평균 약 2억km 임 약 2년 주기로 근접하게 오는데

지구를 천바퀴를 도는 셈이라고해요.

도착까지 약 8개월로 지난 50년 동안 겨우 5대 성공했다고해요

화성 착륙이 쉽지 않은 이유

지구를 떠난 지 8개월만에 화성에 도착함

화성 대기권 돌입부터 착륙까지!

공포의 7분 구간을 견뎌야 성공할 수 있다고함.

낙하산으로 착륙 속도를 반으로 감소시킬수 있음.

탐사로봇의 무게는 900kg으로 충격시 실험장치 파손 위험으로

안정적이고 정교한 착륙이 필요합니다.

700kg 이상의 무게 차이로 새로운 착륙 방법을 고안함.

태양력은 태양 전지를 필요로 합니다.

10년 이상 수명이 보장됨. 

태양전지를 사용했던 과거엔 화성의 극심한 일교차가 최고 160도로

초소 100m 모래 폭풍이 발생합니다.

안정적 에너지 공급을 위해 원자력전지로 대체함

안정적인 배터리 장비의 최소화가 중요합니다.


종이접기 원래를 이용해 부피를 최소화함. 종이접기를 과학에 응용

종이접기는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도구임.

공학및 의료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시도됩니다.

수백개의 공룡 이름도 줄줄외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다 잊어버림.

특히나 고생물학 분야는 진로가 제한적인데

해외에서 만난 이들의 행보는 달랐다!

그야말로 독보적임!!

아이들의 탐험이 사치가 아닌 세상이길...

탐사로봇 이동경로를 파악해보면

5년동안 이 보폭으로 걷는다면? 탐사로봇보단 많이 감.

힘든상황이 나타나면 전진하지 않고 상황 사진을 전송해준다고해요.

쌍둥이 탐사로봇이 지구에 존재해 실제와 똑같이 재현해보고

90% 확신으로 전진! 작은 변수로 실패? 수조원이 공중분해됨.

우주선과 탐사로봇 복제품이 필수인데

같은 기종은 통신이 가능함.

내비게이션이 필요한 기계라는 것!

장애물 대비 요령이 중요한데 


드론같은 경우에도 상승 & 하강 비행을 위해 양력이 필요함.

대기를 통해 얻는 힘.

하지만 화성 밀도가 지구의 1%에 불과함.

인공으로 양력 만들기!!

반대 되는 회전방향으로 인공 양력을 생성

순조로운 화성탐사 진행과정에서

천문학적인 자금이 필요하다고해요.

현재 실정에 맞지 않아 다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함.

방귀.

이외 식물의 유기물이 부패하면서 배출됨.

하지만 생명체가 산다로 단정 짓기는 힘듦.

에너지 부분도 확실치 않음.



1차 관측 후 지구 내 천체망원경에 데이터를 수신


하와이는 빅 아일랜드임.

메탄가스 관측이 가능한 천체망원경이 존재하는데

의례적인 인사말로 이해했는데

2009년 빅아일랜드 탐험 때 무심결에 본 바깥풍경을 보고

하와이가 떠올랐다고

탐사 내내 제주 앓이를 했다고 결국 제주도 탐험을 다녀옴.

해저의 마그마 폭발 후 화산재가 쌓여 바다 위에 형성된 제주도.


제주도= 하와이랑 같다고

에베레스트! 해발 약 8848m 로  에베레스트는 지표면 기준 최고 높이임.

지구과학적으로 최정상!


태양계의 화산 활동분야의 중요한 연구대상.

알고보면 과학적 가치가 무궁무진함.

이를 활용한 나사의 다양한 연구들

화성도착 소요시간은 8개월로 착륙 후 2년간 화성 살이를 하게되는데

약 300일만에 지구로 복귀하게됨.

심리적으로 큰 무리가 있을거라고

화성과 같은 조건에서 의식주 및 연구 활동을 하고

마우나케아산 정상은 세계각국의 천문대 집합소임.

여름과 겨울이 공존해 스키를 즐긴 천문학자들.

히말라야 베이스 캠프보다 위!

지상보다 약 40% 산소가 부족함.

등산 유의 사항은

쉼터를 오고가며 연구활동을한다고해요.

<출처: otvN  어쩌다 어른>

반응형

댓글